쿠싱증후군 – 코티솔 과다 분비 질환

Image

쿠싱증후군이란 무엇이고, 2024년 최신 정보에 근거한 원인·증상·치료법·예방법을 소개합니다. 혈압·혈당 조절이 안 될 때 꼭 확인할 핵심 데이터와 실천 팁까지 한눈에 정리!


쿠싱증후군(쿠싱증후군)이란?

쿠싱증후군은 부신에서 나오는 코르티솔 호르몬이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보통 스테로이드 약물의 장기 복용 또는 뇌하수체·부신 종양 등 신체내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최근 2022년 기준, 국내에서 4,807명이 진단을 받고 꾸준히 증가 추세입니다.


왜 쿠싱증후군이 발생할까요?

쿠싱증후군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외인성 요인(약물): 관절염이나 천식 치료를 위한 스테로이드(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을 오래 복용할 때 주로 생깁니다.
  • 내인성 요인(호르몬 이상)
    • 뇌하수체 종양(쿠싱병): 전체 쿠싱증후군의 약 70%
    • 부신 종양: 부신 내 양성 또는 악성 종양이 코르티솔 분비를 촉진
    • 기타 이소성 ACTH 분비 종양: 폐암 등에서 종종 발생

쿠싱증후군의 대표 증상

대한내분비학회와 보건복지부 자료(2024)에 근거한 대표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두드러진 외모 변화
    • 둥근 얼굴(달덩이 형상, 문 페이스)
    • 목 뒤 지방(버팔로 혹), 복부 비만
  • 대사 이상
    •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
    • 고혈압, 혈당 상승(당뇨병), 고지혈증
  • 피부 문제
    • 멍이 잘 듦, 여드름, 보라색 선(주로 복부)
  • 뼈 건강 저하
    • 골다공증 발생 위험 증가
  • 정신적 증상
    • 우울, 불면, 기억력·집중력 저하

TIP: 위 증상 중 2~3가지가 갑자기 나타난다면, 반드시 내분비내과 상담을 받으세요!


쿠싱증후군의 치료/관리법

쿠싱증후군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1. 내인성(종양):
    • 수술적 절제: 뇌하수체 또는 부신 종양 수술
    • 약물치료: 케토코나졸, 미토테인 등 호르몬 억제 사용
    • 방사선치료: 수술 불가시 선택
  2. 외인성(약물):
    • 스테로이드 약물의 용량을 조금씩 감량(의료진 지도 하에 반드시 서서히 진행)

수술 후에는 코르티솔 호르몬 보충 치료를 6개월 이상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쿠싱증후군 예방 및 생활 실천팁

쿠싱증후군 자체를 완전히 막기는 어렵지만, 조기 발견과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실천항목 세부내용
정기검진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혈압·혈당 변화 시 24시간 소변 코르티솔 검사
식습관 나트륨·당분 줄이고, 칼슘·비타민D 섭취(우유, 두부 등)로 골다공증 예방
스트레스 관리 명상, 규칙적 운동, 수면 패턴 유지
약물관리 스테로이드 약물 복용 시에도 복용량·기간을 반드시 의사와 상의

강조: 설명되지 않는 비만·피부 변화·고혈압·혈당 상승이 있다면, “설마” 하지 말고 바로 검사하세요!


결론 및 행동 권장

쿠싱증후군은 증상이 비특이적이라 쉽게 지나치기 쉽지만, 적시에 진단받고 치료하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생활 변화가 느껴진다면 내분비내과 전문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참고자료


관련글:


※ 본 글은 2024년 질병관리청·보건복지부·대한내분비학회 등 공신력 있는 최신자료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의심 증상이 있으면 자가 판단하지 말고 반드시 전문의 진료를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