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열 : 원인부터 예방까지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① 정의
류마티스열은 A군 연쇄상구균(Group A Streptococcus)이 인후(목) 감염을 일으킨 후 23주 뒤에 발생하는 전신성 자가면역성 염증 질환입니다.15세의 어린이·청소년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며, 심장, 관절, 신경계, 피부 등 여러 기관을 동시에 침범할 수 있습니다.
5
이 질병의 가장 큰 위험성은 심장 판막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② 원인
류마티스열의 직접적인 원인은 A군 연쇄상구균에 의한 인두염(목감기) 또는 편도선염입니다.
이 세균에 감염된 후 치료가 불완전하거나 치료 없이 방치하면, 면역 체계가 인체 조직을 공격하는 방향으로 오작동하면서 류마티스열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주요 위험 요소
- 비위생적인 생활환경
- 과거 가족 내 발생 이력
- 특정 연쇄상구균 균주의 감염
- 의료접근성 부족(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발병률 증가)
통계적으로 인구 10만 명당 5명 정도가 류마티스열을 경험하며, 국내에서도 드물지만 청소년기 집단생활(학교, 기숙사)에서 종종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주요 증상
류마티스열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과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관절염
무릎, 발목 등 큰 관절에 통증·붓기·홍조 동반, 한 관절에서 다른 관절로 이동하는 경우(이동성 관절염)
대부분 2주 이내에 회복되며 후유증 없이 나아갑니다. -
지속적인 고열
38~40도 이상의 발열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
심장염(심근염, 심내막염, 심낭염)
절반 이상의 환자에서 심장 이상 소견이 확인됩니다.
가슴 통증, 호흡곤란, 불규칙한 심장박동이 특징입니다.
심장판막에 영구적인 흉터가 남아 성인기 류마티스 심장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시든햄 무도병
반환불능성 근육 경련이나 이상 운동(특히 팔·다리·얼굴), 학령기 소녀에서 더 많이 나타남 -
피부 증상
격자무늬의 붉은 발진(윤상홍반), 작은 단단한 피부결절(피하결절) -
기타
두통, 오심, 인후통, 편도선 발적과 고름, 림프절 부음 등
④ 치료 및 관리법
-
항생제 치료
류마티스열이 확진된 경우, 우선적으로 페니실린 등의 항생제를 투여해 남아있는 연쇄상구균을 완전히 박멸합니다.
급성기 이후에도 5년 이상, 경우에 따라 성인기까지 주기적인 항생제 예방요법이 권장됩니다. -
소염진통제 및 스테로이드
관절통, 염증 완화를 위해 사용되며, 심장염이 동반된 경우에는 전문의 치료가 필수입니다. -
심장 전문 치료 및 지속 추적 관찰
매년 심장 초음파 등으로 판막 손상 등을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재발 방지 관리
재발 위험이 높으므로, 지속적인 의료진 검진과 예방적 약물 투여가 매우 중요합니다.
⑤ 예방 및 실천법
-
인후통 증상 시 빠른 의료기관 방문
(A군 연쇄상구균 인두염 진단 후 적절한 항생제 복용 필수) -
개인위생 생활 습관
손 씻기, 마스크 착용, 감염자와 접촉 피하기로 감염 확산 차단 -
정기 검진 및 예방적 항생제 투여
류마티스열 병력이 있는 경우, 최소 5년 이상 또는 21세까지 연간 4회 이상 예방항생제(주사) 권고
심장병 합병 시에는 평생 유지 필요 가능
TIP
인후염이 생겼을 때 10일 이내 항생제를 제대로 복용하면 류마티스열 발병 확률이 0.1% 미만으로 줄어듭니다!
(세계보건기구/WHO 공식 자료)
⑥ 결론
류마티스열은 흔한 감기처럼 느껴질 수 있는 인후염에서 출발해, 치료가 늦어지면 심장판막 손상을 남길 수 있는 무서운 합병증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와 청소년을 둔 가정에서는 인후통 증상을 가볍게 여기지 말고, 반드시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 후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조기 치료와 꾸준한 관리만이 류마티스열 및 류마티스 심장병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감염성 질환] 류마티스열 - 감염 후 류마티스 반응](https://i0.wp.com/bodyline365.com/wp-content/uploads/2025/08/%EB%A5%98%EB%A7%88%ED%8B%B0%EC%8A%A4%EC%97%B4.png?fit=2048%2C1024&ssl=1)
![[감염성 질환] 류마티스열 - 감염 후 류마티스 반응](https://bodyline365.com/wp-content/uploads/2025/08/류마티스열.png)



![[감염성 질환] 간염(바이러스성) - 다양한 간염 바이러스 감염](https://i0.wp.com/bodyline365.com/wp-content/uploads/2025/10/%EA%B0%84%EC%97%BC%EB%B0%94%EC%9D%B4%EB%9F%AC%EC%8A%A4%EC%84%B1-1.webp?resize=870%2C570&ssl=1)
![[정신질환] 강박장애 - 반복적 강박 사고·행동](https://i0.wp.com/bodyline365.com/wp-content/uploads/2025/11/%EA%B0%95%EB%B0%95%EC%9E%A5%EC%95%A0-2.webp?resize=870%2C570&ssl=1)
![[감염성 질환] 브루셀라증 - 동물 매개 세균 감염](https://i0.wp.com/bodyline365.com/wp-content/uploads/2025/09/%EB%B8%8C%EB%A3%A8%EC%85%80%EB%9D%BC%EC%A6%9D.png?resize=870%2C570&ssl=1)



![[신경계 질환] 소아마비 - 근육 마비성 바이러스 감염](https://i0.wp.com/bodyline365.com/wp-content/uploads/2025/09/%EC%86%8C%EC%95%84%EB%A7%88%EB%B9%84.webp?resize=1200%2C800&ssl=1)
![[감염성 질환] 브루셀라증 - 동물 매개 세균 감염](https://i0.wp.com/bodyline365.com/wp-content/uploads/2025/09/%EB%B8%8C%EB%A3%A8%EC%85%80%EB%9D%BC%EC%A6%9D.png?resize=1200%2C800&ssl=1)

![[면역계 질환] 쇼그렌 증후군 - 타액·눈물샘 자가면역 질환](https://i0.wp.com/bodyline365.com/wp-content/uploads/2025/05/%EC%87%BC%EA%B7%B8%EB%A0%8C-%EC%A6%9D%ED%9B%84%EA%B5%B0.png?resize=1088%2C544&ssl=1)


